2017년 6월 9일 금요일

타이어(Tire) 관련주

타이어 
철도차량의 경우는 바퀴 외주에 끼우는 내마모성()인 강륜()을 말한다. 고무 타이어의 원조는 쇠바퀴나 나무바퀴였으나, 이것이 진보해서 고무바퀴로 되어 오늘날과 같은 공기들이 타이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고무바퀴, 즉 솔리드타이어(solid tire)는 1865년 R.W.톰슨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솔리드타이어는 고무의 탄성을 이용한 것으로, 주로 저속인 중하중() 차에 사용된다. 자동차와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공기 타이어는 1888년 J.B.던롭이 고안하였고, 이후 많은 개량이 거듭되었다.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000240]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위해 2012년 9월 1일 인적분할의 방식으로 투자부분을 담당하는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와 기존의 타이어사업 등을 영위하는 한국타이어㈜로 분할
한국타이어 기업집단의 지주회사 전환으로 동사는 한국타이어㈜ 등을 자회사로 두게 되며, 사업부문은 자회사의 경영자문 용역매출, 임대사업수익, 상표권사용수익, 지분법이익으로 구성됨
국내타이어 시장은 동사와 금호타이어 및 넥센타이어가 전체시장의 약 90% 이상 과점, 대단위 자본이 소요되는 장치산업으로 신규업체 진출이 어려운 편이며 R&D 투자로 인한 신제품 개발 및 국내외 유통망 확보가 중
앞으로 공격적인 기술 개발 및 투자, 브랜드 파워 강화, 고객 서비스 만족도 제고 등 기본기에 충실한 경영 활동을 통해 성장세를 이루어나갈 계획
매출구성은 차량용 등 기타 61%, 자회사 지분법이익 27.9%, 상표수익 6.9%, 용역서비스, 임대 등 4.1% 등으로 구성

한국타이어[161390]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에서 타이어사업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유가증권 시장에 재상장된 기업임
한국과 미주, 구주, 중국에 총 4개의 지역본부를 통한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4개국에 걸쳐 7개의 타이어 생산공장을 바탕으로 한 글로벌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타이어 제조/판매 기업임
사업군별로 보면 크게 타이어를 생산/판매하는 타이어 부문과 해당 타이어 생산 등에 필요한 기계장치를 생산/유지보수, 타이어용 금형을 제작하는 비타이어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신차용 타이어 수요는 자동차 생산대수에, 교환용 타이어 수요는 차량 등록 대수에 영향을 받는 산업, 또한 타이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코드지 등 여러 원재료가 투입되어 화학산업과 연관되어 있는 산업임
매출구성은 타이어 98.6%, 밧데리 튜브 등 1.2%, 기타 0.1% 등으로 구성

금호타이어[073240]

한국, 중국 그리고 베트남에 위치한 9개 타이어 생산공장을 토대로 글로벌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를 갖춘 타이어 제조, 판매기업임. 공정거래법상 금호아시아나그룹 기업집단에 속해있음
최근 3개년의 시장점유율은 교체용 시장(RE) 및 신차용 시장(OE) 모두 동사, 한국타이어, 넥센타이어가 전체 타이어 시장의 약 90% 이상을 점유
제품 매출원가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는 원재료의 가격변동은 수급(고무나무 작황 및 합성고무 업체의 공급능력) 변동 및 환율, 유가, 경제상황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음
제품 성능 평가 및 양산화 적용을 위한 광주의 KPC, 해외 시장 정보입수 및 현지 최적 제품개발활동을 위한 미국의 KATC, 독일의 유럽연구소, 중국연구소를 잇는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 운영 중
매출구성은 타이어 98.9%, 비타이어 1.1% 등으로 구성

넥센타이어[002350]

국내 본사를 거점으로 중국, 미주, 유럽, 동남아 등 글로벌 판매네트워크를 통해 타이어 제조, 판매하는 기업임
사업부문은 자동차용 타이어를 생산, 판매, 렌탈하는 타이어부문과 종속회사인 넥센L&C(주) 및 누리네트웍스(주)의 운송보관부문, Qingdao Nexen Eng Co.,Ltd의 금형부문으로 구성
타이어 원재료인 천연고무를 대부분 수입하고 있고, 합성고무의 원재료가 원유에 의존되는 관계로 천연고무 및 유가의 국제시황 그리고 환율 변동의 변화에 민감함
타이어 산업은 대규모 자본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장치산업으로 신규업체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며, 이로 인해 국내 타이어 시장은 동사,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가 전체시장에서 약 75% 이상 과점 형태를 취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타이어 제품 137.5%, 비타이어 6.9%, 기타 임대외 0.6%, 내부거래제거 -45% 등으로 구성

넥센[005720]
넥센타이어㈜ 등 10개 계열사(공정거래법 기준)를 포함하는 넥센그룹의 모회사임과 동시에 자동차타이어용 튜브 등 고무제품의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업형 지주회사임
사업부문은 자동차타이어용 튜브 등 고무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하는 고무부문, 부동산 임대 및 매매를 하는 임대부문, 관계기업의 배당수익 및 로열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타부문으로 구성
고무부분 원자재의 대부분이 석유화학제품이며, 완제품의 수출의존도가 높고 세계 튜브 시장의 상당 부분을 동사를 포함한 국내 3개 업체가 세계시장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
타이어 주요 시장인 유럽, 북미 지역의 글로벌 생산 거점 구축을 위한 체코 신공장 투자와 창녕공장 2차 증설의 완료 및 안정적인 품질확보, 넥센히어로즈의 활약과 유럽, 미국의 스포츠 마케팅 강화로 브랜드 이미지 상승
매출구성은 고무부문 74.6%, 기타부문 24.6%, 임대부문 0.8% 등으로 구성

뉴프라이드[900100]
인터모달 토탈서비스 및 환적차량 전용타이어의 제조 및 공급 전문업체로 미국기업 최초 국내 상장기업임. 인터모달 산업은 국제적으로 여러 개의 운송수단을 넘나드는 일관운송책임체계를 말함
미국 복합물류산업의 중추역할을 하는 철도운송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여 컨테이너 선박과, 트레일러트럭 운송 간의 환적에 사용되는 차량과 장비의 운용과 관리에 요구되는 모든 서비스를 미국전역에 걸쳐 통합적으로 제공
산하에 3개의 자회사를 두고 토탈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지주회사로 동사는 인터모달 타이어의 생산을 주력으로 하고, 자회사는 차량검사, 정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동사가 점유하고 있는 수리, 정비, 관리용역 서비스의 시장점유율은 전체 중형트럭 수송분야의 약 1% 수준으로 분석되며, 인터모달 분야의 시장만으로 볼 때는 약 2%의 점유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매출구성은 제품 34.5%, OEM 28.2%, 인터모달 토탈서비스 18.2%, 자동차 상품 14.7%, 화장품 상품 2.7%, 자동차 서비스/용역 1.4%, 엔터테인먼트 0.3% 등으로 구성

동아타이어[007340]

자동차용 튜브, 타이어 및 후랩 제조 및 판매업 등의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1년 6월 23일 설립되었으며 1988년 9월 24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주식이 상장되었음
지배회사인 동아타이어공업(주)는 자동차용 고무제품 및 자동차용 부속품, 축전지를 생산하는 단일 사업구조이며, 자회사가 생산하는 축전지제품의 중개를 포함하고 있음
자동차용 튜브 산업은 노동집약적 특성에 따라,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후발 개도국과의 가격경쟁이 치열하며, 동사를 포함한 국내 3개 업체가 세계 시장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주요생산품목인 자동차용튜브는 동사와 (주)넥센이 경쟁관계에 있으며, 해외시장에서 후발 개도국과의 경쟁에서는 기술력 및 산업입지도 측면에서 경쟁 우위에 있음
매출구성은 자동차용 부품 83.4%, 자동차용 고무제품 24%, 자동차용 축전지 19.4%, 기타 0.6%, 내부거래제거 -27.3% 등으로 구성

세화아이엠씨[145210]
1999년 설립되었으며 자동차 타이어 제조기계류 및 금형류, 제조기계주물 및 기타 주물류의 제작 및 가공 수리업, 고철 및 폐기물 수집 및 판매업, 기계부품의 제조가공 및 수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3~5 년간의 Test 수주 기간을 거쳐서 국내업체뿐만 아니라 피렐리, 요코하마러버, 콘티넨탈, 스미토모 등과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기술력을 통해 우량 매출처를 확보하고 있음
국내 최초로 분절주형 제조법을 개발하여 기존 링 타입 주형 제조법보다 품질향상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매출증대에 기여하고 있음
2011년 10월 루마니아 현지법인인 세화아이엠씨에스알엘을 설립, 2013년 러시아 및 미국에 신규법인을 설립하였고, 향후 인도네시아, 대만, 멕시코를 통하여 시장 확대를 준비중에 있음
매출구성은 타이어금형 90.9%, 타이어제조설비 7.3%, 기타 1.8% 등으로 구성

효성[004800]

1966년 11월 3월에 설립되어 1973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화학섬유 및 수지, 전력설비, 산업재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함. 노틸러스효성㈜, 효성캐피탈㈜ 등 91개 종속회사 보유
사업부문은 변압기, 차단기 등 전력산업 핵심 설비를 생산하는 중공업 부문, 자동차용 원사 및 타이어보강재 등을 생산하는 산업자재 부문, 스판덱스 등 고부가가치 섬유소재를 생산하는 섬유부문을 포함한 7개 사업부로 구성
섬유부문과 산업자재 부문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 생산증대 노력에 따라 세계 1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친환경 고분자 신소재인 폴리케톤을 세계 최초로 개발, 상용화하는 등 사업다각화 진행중
중공업과 건설 부문에서도 차세대 전력 IT 사업분야 확대와 신재생에너지 자원화, 수처리사업 등의 환경분야에 투자하는 등 사업부 전반의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역점을 둠 타이어 코드 글로벌 1위
매출구성은 중공업 21.6%, 산업자재 20%, 무역 17.1%, 섬유 16.6%, 화학 10%, 건설 7.5%, 기타 5.8%, 금융 1.6% 등으로 구성

코오롱인더[120110]

(주)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2009년 12월 31일자로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임
산업자재군(자동차소재 등), 화학소재군(종합화학제품),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패션, 아웃도어 제품), 의류소재군의 5개 사업군으로 구성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오드를 비롯하여 에어백 원단 및 쿠션, 산업용사, SPB(부직포), 샤무드(인공피혁), 아라미드, MBR(멤브레인)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음
약 880억원을 투자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 생산설비를 구축 중에 있음
매출구성은 산업자재군 38.1%, 패션군 24.9%, 화학소재군 17.9%, 필름/전자재료군 10.4%, 의류소재등군 8.7% 등으로 구성

금호석유[011780]

1970년 12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금호아시아나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회사임
종속회사는 기초유기화합물 제조업을 영위하는 금호피앤비화학(주),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금호티앤엘(주)의 2개 종속회사 포함 총 7개의 회사로 구성
사업부문은 타이어 및 신발용 고무제품의 주원료를 생산하는 합성고무 부문, 플라스틱 및 스티로폼 등의 주원료인 합성수지를 제조하는 합성수지 부문 외 건자재, 에너지, 정밀화학 부문 등으로 구성
종속회사를 통해 태양광산업용 전자소재, 건축 및 전자산업과 정밀화학으로 연결되는 페놀유도체 부문을 통해 사업연계성을 확보
매출구성은 합성고무 49.7%, 합성수지 33%, 기타 13.4%, 정밀화학 

2017년 6월 8일 목요일

왜 분노해야 하는가 분배의 실패가 만든 한국의 불평등 한국 자본주의 2

  • 장하성(대학교수) 저 헤이북스 2015.12.05.

    《한국 자본주의》저자 장하성 교수가 진단한 한국의 불평등!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눈앞에 둔 고도의 경제성장 이면에 외환 위기와 금융 위기를 거치며 ‘원천적’ 분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불평등이 심해진 나라가 되었다. 전작 《한국 자본주의》에서 정의로운 경제를 외쳤던 장하성 교수가 신간 『왜 분노해야 하는가』를 통해 한국의 불평등을 진단했다.

    경제학자이자 실천 운동가인 저자는 국내외의 방대한 문헌과 통계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고, 연구하여 한국에서는 아직 재산 불평등보다는 소득 불평등이 불평등의 주원인임을 밝혀냈다. 더불어 소득 불평등은 임금과 고용의 불평등 때문이며 이는 기업의 ‘원천적 분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도 규명했다.

    혁명이 일어나지 않고서는 불평등이 해소될 것 같지 않은 현실. 저자는 그 해법을 기성세대에서 찾기보다는 미래 주역인 청년세대에게 제시한다. 이 책은 미국과 유럽처럼 교정할 수 없는 재산 불평등의 문제가 아닌 얼마든지 정책과 제도로 교정할 수 있는 소득 불평등의 문제임을 밝혀낸 연구 결과다.

    책의 절반 이상이 지표와 그림들을 이용해서 한국이 얼마나 불평등하고, 불평등해졌는가를 설명해 놓아서 처음엔 조금 지루한 감도 있다. 하지만 현실을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소득을 만들어내는 경제 활동에 따라서 크게 노동소득, 재산소득, 사업소득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한국은 재산 소득 보다는 노동 소득의 차이에 따라서 분의 격차가 심화되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와,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의 확대 때문이다.
    시장 경제의 원리가 현실에서 작동하기 위해서는 경쟁구조에서 세 가지 평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기회의 평등, 과정의 평등 그리고 결과의 평등이다. 결과의 평등은 경쟁의 결과를 나누는 분배의 문제이다. 복지도 중요하지만 원천적 분배가 더 중요하다. 하지만 분배의 문제가 공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임금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다. 정의롭지 못한 분배에 대해서 분노하지 않는다면 한국 사회는 죽은 사회다.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아무리 효율적으로 성장하는 체제라 할지라도 그것이 정의로운 분배를 실현하지 못한다면 개획되어야 하며, 국민이 개혁을 요구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시간 단축을 요구해야 한다. 이로 인해 일자리도 늘어나고 임금격차도 줄어든다. 그리고 원청 대기업과 하청 중소기업 간의 임금 분배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 하청업체에 단가 후려치기 만 막아도 시장은 달라진다.
    불공정 한것에 분노해야 한다. 젊은이들은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운동에 걸맞게 구체적이고, 실제적이고, 현실적으로 문제를 접근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시민의 힘으로 시민이 원하는 것을 정치인이 하도록 만드는 것이 민주주의다. 희망을 빼앗아간 지금의 한국은 기성세대가 만든 것이다. 미래는 젊은이들의 것이다. 젊은이가 세상을 바꾸어야 한다.

2019년 1월 미국주식 배당

현 보유종목 트리맵으로 시각화 1월 배당금액 $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