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0일 월요일

치아 임플란트 관련주[dental implant]

임플란트

인공 치아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이다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턱뼈와 식립된 임플란트 본체 표면과의 형태적생리적직접적 결합인 골유착(osseointegration)이 이루어진 후 임플란트 주위 턱뼈의 골 개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임플란트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근래에는 나사 형태의 골 내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된다.

오스템임플란트 [048260]


1997년 설립되어 2007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기자제 생산 기업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직접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기업과의 판매 계약을 바탕으로 한 치과기자재 수입판매와 반제품 및 원재료 수출, 용역 매출 사업도 영위 중
특허권 등 136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 12년에는 TSⅢ CA제품을 출시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우수한 품질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전세계 21개 해외법인 및 해외 딜러 등을 통해 전세계에 공급
해외 치과의사들에게 AIC교육을 꾸준히 실시하여 연수인원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오스템글로벌 미팅 등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여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치과용임플란트 77.11%, 치과용기자재 18.73%, 교육, A/S 2.11%, IT 소프트웨어 1.57%, 서적 등 0.47%으로 구성

디오 [039840]


1988년 설립되어 2000년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된 의료기기와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
임플란트 및 의료기기 사업은 지난 10년여간의 지속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과 밀착형 영업활동을 통해 최근 3년간 연간 누적 성장률은 약 7%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음
해외시장은 미국, 중국, 홍콩, 대만, 멕시코, 호주, 인도네시아, 일본, 브라질, 네덜란드의 해외현지법인과 전세계 약 60여개 국에 Business Partner (대리점)를 두고 있음
동사는 동사가 영위하는 의료기기사업과 관련하여 특허 17건, 실용신안 2건, 디자인 16건, 상표 28건 총 63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임플란트등 72.47%, 의료기기 27.53%으로 구성

신흥[004080]


1964년 설립되어 1991년 상장되었으며 치과의료기기 제조 및 유통회사로서 치과에서 사용하는 기계장비부터 소모성재료까지 전 품목을 취급하고 있음
주요제품으로는 치과용 합금, 치과용 진료대, 치과용 X선 촬영기, 공기압축기 등 제품과 치과에서 사용하는 소모성 재료 등의 상품 등이 있음
금융 팩토링을 영위하는 신흥캐피탈과 임플란트 제조를 영위하는 신흥엠에스티를 자회사로 두고 있음
신개념 치과 유니트체어 출시와 치과 귀금속 시장의 신규 진출을 통하여 사업 구조의 견실성을 강화 중이며 꾸준한 유통 채널의 다각화로 국내의 경쟁 우위를 유지
매출구성은 상품 59.10%, 제품 37.04%, 기타 3.85%으로 구성

웹스[196700]

2001년 9월 고분자 소재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된 동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목적사업으로는 플라스틱 소재 개발업, 건축 내장재 소재 개발 및 생산업 등이 있음
동사는 고분자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고분자 소재시장에서 TPE(열가소성탄성체)소재를 자동차용, 레저용 등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동사가 개발한 레저용 고기능성 소재는 우수한 물성을 바탕으로 골프공, 군수품 등에 적용 중
동사는 자동차용 소재 부문에서 과점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내장재 시장에서 Encapsulation Glass 소재는 주요 매출처인 세진을 통해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쌍용차 등 대부분 차종에 적용 중
동사는 현재 국내에 개발되어 있지 않은 형태의 임플란트용 소재 및 그 제품을 개발 중에 있음
매출구성은 compound 76.44%, 건축외장재 23.56%로 구성됨

임플란트용 바이오소재 개발사업이 산업부 개발과제로 선정되어 개발중(15.11.24)

2016년 9월 27일 화요일

수출실적증명서 및 수출신고필증 발급받기

수출실적증명서

수출실적을 조회 및 증명은 인터넷에서 가능하며 한국무역통계진흥원과 한국무역협회에서 할 수 있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
www.trass.or.kr



사업자등록번호와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가능하다. 





자사실적정보를 클릭하면 자사수출증명에서 조회 및 출력을 할 수 있다.


증명서 발급시 수수료가 발생한다.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



온라인 증명서 발급에 들어가면(http://webdocu.kita.net/) 발급 받을 수 있는데



무역협회에는 회원 가입을 해야 조회가 가능하며 가입비가 35만원이다.

수출신고필증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에서 수출신고필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
https://unipass.customs.go.kr/csp/index.do


2016년 9월 21일 수요일

TJ미디어

 
1. 사업의 개요

사업부문별 현황
당사의 사업은 아래와 같이 크게 4개 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각 부문의 주요제품과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주요 제품 비고
(1)노래반주기 부문 *업소용 노래반주기, 가정용 노래반주기,
마이크형 노래반주기 외 기타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
TJ미디어(주)
TJmedia (Thailand) Co.,Ltd
TJ (Shanghai)
(2)음악콘텐츠 부문 *반주 음악 데이터 제작 TJ미디어(주)
*유선, 무선 TV 노래방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 (스마트폰 어플, IPTV )TJ커뮤니케이션(주)
(3)전자목차본 부문 *전자목차본, 배터리, 충전기 TJ미디어(주)
(4)음원 IC 부문*음원 IC개발 및 판매Dream S.A.S (프랑스소재)


 

(1)  노래반주기 부문

*업소용 노래반주기, 가정용 노래반주기, 마이크형 노래반주기 외 기타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TJ미디어(주),  TJmedia (Thailand) Co.,Ltd, TJ (Shanghai) )

(산업의 특성)
노래반주기는 반주 음원과 배경 영상 콘텐츠를 내장하여 이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맞춰 즉석에서 노래 가사를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해주는 음향기기(전자제품)이며, 이용되는 장소/환경에 따라 가정용과 업소용(노래연습장, 유흥주점 등)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습니다. 미디 음원 제어, 그래픽 처리, 오디오 및 음향 콘트롤 등 주로 음악과 영상 부문에서 다양한 응용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노래반주기는 가정에서 쓰이는 TV나 냉장고와 같은 전자제품과는 달리, 음악과 영상이라고 하는 콘텐츠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자제품인 동시에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상은 뮤직비디오, 자연영상,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접 제작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보통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영상물을 구매하여 탑재하게 됩니다. 음악은 선곡 담당자가 선곡한 원곡을 전문 연주자가 카피하여 미디포맷(혹은 실제연주 방식)으로 직접 제작을 하게 됩니다.
가정용 반주기 시장은 비교적 꾸준한 수요를 형성하고 있으며, 업소용 반주기 시장은 전방산업인 노래방(노래연습장), 유흥업소(단란주점, 룸싸롱)의 경기와 연관 관계가 높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노래방이나 유흥주점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기본적으로 한 국가의 경제력(구매력)수준과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경제력 수준이 올라갈수록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소비하는 지출도 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 90년대 초반 노래방이 첫선을 보인 이래, 노래방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과 궤를 같이 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2천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노래방 관련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 들었고 수년째 큰 변화없이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노래방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들었으나, 필리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노래방 문화는 우리나라의 20년전 수준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이들 국가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노래방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에서의 노래반주기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당사는 이들 국가의 성장성에 주목하여 수년전부터 동남아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노래반주기는 전방산업인 노래연습장이나 유흥주점 등의 경기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이들 업종의 경기가 호황일때는 교체 수요도 증가하고, 신규 업소 개설로 인한 신규 매출도 늘어나지만, 경기가 불황일 때는 수요가 줄어듭니다.
가정용 반주기는 업소용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경기 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비교적 꾸준한 판매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 여건)
 국내 노래반주기 시장은 당사와 경쟁업체인 금영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습니다. SM브라보, 엘프 등 소규모 반주기 업체 몇곳이 있으나 점유율은 극히 미미한 수준입니다.
국내 노래방은 아직 영세한 개인 자영업 형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수년전부터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에 최신 장비를 갖춘 경쟁력 있는 대형업소들이 출현하였습니다.
수노래방, 락휴노방으로 대표되는 이들 고급 대형 노래방의 성공적인 영업 사례는 이후 타 업소들의 벤치마킹을 유도하며 전체 노래방의 고급화, 대형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고품질 음악과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춘 고급형 반주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에 부응코자, 당사는 2011월 세계 3대 음원칩 회사이자 전세계 가라오케 음원의 절반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프랑스 드림사의 지분을 100% 인수해 계열사로 편입시켰습니다.

 당사는 음원칩 전문제조업체인 드림사의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에 직접 관여하고 독점적으로 시장주도적 음원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라오케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 시킬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신제품은 출시와 함께 시장흐름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반주기에 적용된 음성인식 기능과 스마트폰연동기능, 무선랜 지원기능은 노래방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면서 만족도를 높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일본에 수출하고 있는 당사 효자상품인 전자인덱스를 한국형 제품인 “스마트인덱스”로 한국 노래방시장에 선보였습니다.
신제품반주기와 스마트 인덱스가 노래방사용자들에게 노래 부르는 것 이외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면서 노래방 업주들의 구형제품 교체의욕을 유도하고 있어 긍정적인 시장수요를 이끌어 갈 것입니다.
신제품은 노래방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주변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손쉬운 제품 교체가 가능해 별도의 비용부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업주들은 신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신제품 시리즈가 침체되어 있는 국내 시장에서 교체 수요를 자극하고 당사의 시장 점유율을 끌어 올리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은 아직 시장 규모가 크진 않으나, 현재 큰폭으로 성장하고 있고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가 기대되는 시장입니다. 이들 국가에는 규모와 브랜드 파워를 갖고 있는 제조업체가 거의 없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영세한 규모의 업체들만 난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까지는 이들 국가의 구매력 수준이 낮아 저가 제품 위주의 시장으로 되어 있었으나, 경제 발전에 따라 반주기 시장에서도 고급화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경쟁요소)
 경쟁력있고 좋은 반주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음악, 그래픽 등에 관련된 H/W, S/W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반주기의 핵심 요소인 좋은 품질의 반주 음악을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좋은 노래를 선곡할 수 있는 안목, 선곡한 노래에 대한 저작권 라이센스 해결 및 관리 등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도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당사는 노래반주기 전문 업체로서, 20년 이상 사업을 진행하면서 축적된 다양한 기술력과 노하우, 사업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노래반주기 부문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2)   음악 콘텐츠 부문
 
*반주 음악 데이터 제작 (TJ미디어(주))
(산업의 특성)
음악 콘텐츠는 노래반주기에 들어가는 반주 음악을 말하며, 노래반주기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당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업소용 반주기에는 가요곡 약2만7천여곡을 포함해서 총 4만1천여곡의 반주 음악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반주기를 구매하면 기본적으로 곡이 내장되어 있긴 하나, 구매 시점 이후에 나오는 신곡은 별도로 업데이트를 받아야 합니다. 당사는 매월 140여곡의 신곡을 제작하고 있으며(국내 기준), 이렇게 제작된 신곡 콘텐츠를 일정 비용을 받고 가정용 반주기 혹은 업소용 반주기 구매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정용 반주기 신곡은 매 분기 1회씩 신곡이 담긴 DVD타이틀 혹은 송팩(song pack : 신곡이 담긴 메모리칩)을 출시해 판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업소용 반주기의 경우에는 온라인 혹은 HDD공급기를 통해 신곡을 업데이트하고, 스마트 카드를 통해 충전후 인증을 받는 형태로 신곡 판매가 이루어집니다.
 가정용 반주기는 신곡 판매 비중이 높지 않으나, 업소용 반주기는 거의 대부분 매월 신곡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업소용 반주기 신곡 출고가는 1개월 기준 9천원(부가세 별도)입니다.
 
 한편, 당사는 원소스 멀티유스 전략의 일환으로, 노래반주기용으로 제작된 음악 콘텐츠를 반주기 이외에 모바일, 온라인, IP-TV 등의 새로운 매체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업무는 당사 자회사인 TJ커뮤니케이션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음악 콘텐츠 부문은 제조 원가 대비 부가가치가 높고 꾸준하고 안정적인 매출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당사 비즈니스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수익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음악 콘텐츠는 노래반주기에 부속된 일종의 파생 상품 형태이기 때문에, 산업의 성장성은 위에 설명한 노래반주기의 성장성과 대동소이합니다.
일반 제조업은 매출이 늘면 늘수록 그에 정비례해서 제조비용(재료비, 인건비 등)도 상승하기에 이익율의 변동이 크지 않은 구조를 갖고 있으나, 음악 콘텐츠는 제작원가(인건비, 저작권료 등)가 한정되어 있기에 반주기 판매 수량이 늘면 늘수록 이익율이 크게 증가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음악 콘텐츠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업소용 반주기 신곡 매출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노래연습장이나 유흥주점과 같이 고객을 상대로 장사를 해야 하는 업소 입장에서 보면 신곡 업데이트는 선택 사항이 아니고 필수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안좋을 때는 반주기 판매 수요가 감소하지만, 반주기 판매가 줄더라도 음악 콘텐츠 매출이 감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당사가 관리하는 반주기 수량 자체가 줄게 되면 음악 콘텐츠 매출도 줄 수 있으며, 반대로 관리 수량이 늘면 그만큼 음악 콘텐츠 매출도 늘게 됩니다.

(시장 여건)
시장 여건은 위의 노래반주기 부문과 대동소이합니다.
 
(경쟁요소)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음악 콘텐츠의 경쟁 요소는 첫째, 얼마나 곡을 많이 탑재하고 있는가(수량적인 측면), 둘째, 좋은 곡을 고르는 안목(선곡 경쟁력) 셋째, 선곡한 곡에 대한 저작권 해결 능력 넷째, 음원칩의 품질(H/W적인 측면) 다섯째, 곡을 제작하는 연주자가 얼마나 듣기 좋게, 부르기 쉽게 제작할 수 있는가 하는 테크닉 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내 노래반주기 업계에 종사하는 미디 연주자의 실력과 테크닉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당사가 동남아 시장에 진출해서 경쟁사를 압도하는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반주기에 수록되어 있는 약4만1천여곡에 이르는 방대한 라이브러리는 새로운 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강력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음원칩의 경우에는 최근까지만 해도 경쟁사와 같은 음원칩을 채용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없었으나, 위에 설명한 것처럼 당사에서 올해초에 세계 3대음원업체인 프랑스의 드림사를 계열사로 편입하면서 당사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저렴하면서 최고급의 사운드를 내는 음원칩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음악 콘텐츠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력을 무기로 해외 시장 진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유선, 무선 TV 노래방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 (TJ커뮤니케이션(주)) 
(산업의 특성)  
 TJ커뮤니케이션(주)는 TJ미디어에서 제작하는 노래반주콘텐츠(이하 '원콘텐츠'라 함)를 공급받아, 유선 인터넷과 무선인터넷, 그리고 IPTV, 스마트TV 등을 통해 노래방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주기에서 사용되는 콘텐츠와 달리 PC, 태블릿, 스마트폰/피쳐폰, IPTV 등에서 노래반주가 운용되도록 하기 위해, 원콘텐츠를 각 디바이스에 맞게 가공한 후, 해당 콘텐츠를 구동할 수 있는 유선용, 무선용(스마트폰, 태블릿 등), TV용(IPTV, 스마트TV, 디지탈케이블TV 등)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용자들이 노래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매월 일정 금액(3000원/월, 5000원/월 등)을 지불하거나, 곡당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방식으로 상기 환경을 통해 노래방 서비스를 유료로 이용하고 있으며, 원콘텐츠 생산 시기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신규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선, 무선, TV 및 반주기를 통해서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각 디바이스 또는 매체 별로 녹음노래를 UCC로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즐기고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사업을 유선기반으로 자체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SKT, KT, LG유플러스와 같은 통신사를 통해서 TV기반, 무선(스마트폰, 태블릿 등) 기반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유선인터넷과 무선인터넷은 점차 경계가 무너지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한 인프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은 시장에 보급된지 얼마되지 않아, 국내 2천만 이상의 가입자 시장으로 규모가 커지고 있고, TV 시장 또한 디지털 전환시점이 도래하고 인터넷 기반의 연결성이 확장되면서 양방향이 가능한 TV 제품과 서비스로 본격적인 거실 혁명의 초입에 다가와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이 언제 어디서나, 또 거실을 통해서도 간편한 조작과 이용만으로 손쉽게 노래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는시장이 점차 확장되어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스마트폰이나 IPTV 등의 사용자 수는 국내 통신사업자가 마케팅을 통해 지속적으로 가입자수 또는 가구수를 증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소비 경기가 침체 되더라도, 사용자수는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실제 노래연습장에서의 이용료 대비한층 저렴한 비용으로 노래연습을 할 수 있어, 크게 경기 변동에 따른매출 변동 요인은 미약하며, 1년, 2년단위 서비스 이용계약을 통해 장기 이용고객 할인프로그램을 운영하므로서 지속적인 매출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시장여건)  
 유/무선인터넷, IPTV를 포함한 스마트TV 등의 시장에서 노래방 서비스는 금영 및 그 자회사인 금영미디어와 당사의 모회사인 TJ미디어 및 자사외에는 안정적으로 고급 퀄리티의 노래방반주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는곳이 부재한 시장 환경 입니다. 과거 스마트폰이 아닌 범용폰(피쳐폰)이 광범위하게 보급되었던 시기에는, 벨, 링과 같은 휴대폰 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노래방 시장까지 진입을 하였으나, 스마트폰으로 단말기가 고사양화되면서 낮은 음질과 퀄리티의 반주곡은 시장에서 자연히 도태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은 2013년도 상반기까지 약3,500만 가입자가 사용을 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데 있어서도, 메시지/SNS, 검색, 게임, 음악 등의 순으로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는 시장상황으로 그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TV 시장에서도, 2007년도부터 본서비스가 시작된 IPTV가 올해 500만 가입자를 돌파하면서, 그 가입자 규모가 확장일로에 있고, 삼성, LG전자 등의 가전사업자가 스마트TV 시장에 진출을 하고, 케이블사업자는 디지털케이블 가입자 확대 및 전환을 주요 사업 목표로 하고 있는 바,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TV 시장 규모 또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특히 노래방은 가족 단위로 거실의 TV를 통해 서비스 될 경우, 양방향 TV 서비스 중에서 가장 인기있고 사용률이 높은 서비스로서 지난 3년간 KT와 같은 IPTV 사업자를 통해서 입증되어온 서비스로서 그 전망이 밝다고 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유/무선/TV를 N스크린으로하여 해외에 진출하고자 하는 플랫폼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수출도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슈퍼스타K, Kpop스타 등과 같은 오디션 음악 프로그램이 매해 시즌별로 방송 매체를 통해 방영되고 있고, 히든싱어, 퍼펙트싱어 등의 차별화된 사용자 참여형 노래 방송들이 생겨남으로서 연계된 파생 어플리케이션 사업들이 성장해 나갈 계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쟁요소)
  노래방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는 반주콘텐츠의 품질입니다. TJ커뮤니케이션(주)는 TJ미디어가 제작하는 반주곡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은 후, 가공하여 유/무선/TV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경쟁사 대비 월등한 고품질의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공급하고 있어, 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단말, 태블릿 기반, IPTV, 스마트TV 기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국내 최초로 개발 공급/운영한 노하우와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성장하는 시장과 사업자의 이해와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 공급 능력을 획득하고 있습니다.


 
(3)  전자목차본 부문

*전자목차본, 배터리, 충전기 (TJ미디어(주))
 
(산업의 특성)
 전자목차본이란, 노래반주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전자 인덱스 시스템(전자기기)이며, 터치 판넬을 통하여 노래방 악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검색은 가수명, 곡명 외 장르별, 연대별, 본인 영상곡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이 가능하며, 기존의 리모콘 기능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원 로그인을 하여, 반주기와 연동한 다양한 유무상 콘텐츠의 실행 및 전자결제가 가능합니다.
 일본 시장에서는 노래방에서 식사 및 음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젊은 층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노래방을 자주 찾습니다. 그리고 탑재된 곡수가 외국곡 포함하여 13만곡 이상 수록되어 있기에 전자목차본이 없으면 곡을 검색하기 힘든 환경이므로 남녀노소 모두 익숙히 사용하고 있어 노래방에 없으면 안되는 품목으로 자리잡았기에 교체수요 등 끊임없는 니즈가 발생되어 꾸준한 매출 발생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전자목차본은 위와 같은 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꾸준한 수요가 있어 연간 약 10만대 이상 수출하고 있으며, 제품에 대한 니즈의 지속으로 연 1회 이상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노래반주기와 비슷합니다.

(시장 여건)
일본 경제 불황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당사의 고객사인 DAIICHIKOSHO사는 지속적인 개발을 통한 신제품 출시 및 전국적인 광고 및 홍보 활동, 자회사인 노래방 체인의 운영 등으로 일본 업계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노래반주기의 지속적인 수요 유지에 동반하여 전자목차본 또한 꾸준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태블릿 기반의 전자목차본 신제품을 출시하였으며 기존 전자목차본과는 다른 태블릿 방식의 특성상 인터넷 검색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함에 따라 일본 현지 고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게 되어 출시와 동시에 매출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경쟁요소)
전자목차본의 필수 경쟁 요소는 첫째, 사용 편의성, 둘째, 다양한 검색 기능, 셋째, 다양한 콘텐츠의 탑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기존 메뉴에서 터치하여 검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직접 곡명, 가수명 등을 펜으로 입력하여 찾는 필기 입력 기능을 탑재하기도 하였습니다. 검색 기능 또한 곡명, 가수명 이외에도 신곡, 장르별 검색, 본인 영상곡, 가이드 보컬곡, 연도별 검색, 조건 검색 등의 다양한 검색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콘텐츠로서는 채점, 랭킹 배틀, 녹음, 신곡 연습, 게임 등이 탑재되어 있어, 회원 카드로 로그인 및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습니다.

 전자목차본은 노래반주기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품목이므로 우선은 노래반주기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고, 꾸준한 교체 수요 유도를 위해 신기능 제공이 필요합니다. 노래반주기는 당사 고객인 DAIICHIKOSHO 사에서 영상 및 음악 콘텐츠 강화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전자목차본은 당사의 검색 기능 강화 기술력 및 품질 안정화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4)음원 IC 부문
*음원 IC개발 및 판매 (Dream S.A.S (프랑스소재))(산업의 특성) 
 음원이란 미디신호에 의해 사운드를 발생해 주는 장치이며, 이러한 음원칩은 신시사이저나 음악 사운드카드등을 이루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사운드카드나 미디음원모듈의 성능을 결정짓고 음원 종류도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 음을 만들고 있는가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초창기의 음원은 발진기등을 이용한 아날로그형의 음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과 더불어 디지털방식의 음원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드림 IC는  디지털피아노,전자드럼, PA, 노래반주기 등에 부속된 상품 형태이기 때문에, 산업의 성장성은 해당 Application 의 매출액에 따라 판매 수량도 늘어 나게 되는 의존형 매출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는K-POP, 밴드 등의 관심도가 높아져 악기를 배우고 싶어하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되며 또 하나의 가능성 높은 시장인 중국의 악기시장은 1가구 1자녀 정책에 따른 자녀에 대한 집중투자와 소득 및 교육 수준 향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피아노의 보급률이 10%미만으로 선진국의 30%에 비하면 낮은 상태로 실내에서 연주 가능한 디지털피아노, Silent 피아노, 전자드럼 등의 수요가 기대되어 드림 IC의 수량도 증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드림 IC의 사용하는 업종을 크게 세가지로 보면 반주기 시장과 전자 악기, PA로 볼 수 있는데, 전자 악기 시장은 마니아 층이 있어 수량은 작지만 꾸준히 수요가 있는 편이고, 반주기 및 PA시장은 경기호황 일 때는 악기 구매, 반주기 수요 증가, 신규 업소 개설로 인한 신규 매출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입니다.

(시장 여건)
 한국에서는 반주기 시장이 포화시점에 있지만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은 아직 시장 규모가 크진 않으나, 현재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고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경쟁요소)
 드림 IC는 중저가 브랜드 마켓에서는 독점적인 위치에 있지만, 곳곳에서 음원칩에 대해 계속 개발을 하는 단계라 마음을 놓을 수 있는 없는 상황에서 3x16계열은, Insert effect, MP3 Decode, 내장 USB, 135poly 등의 특장점을 제공하고 이러한 것들은 현재 Free Market 상의 다른 경쟁자들에게서는 보기 힘든 경쟁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원재료 등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구체적용도주요
상표등
매출액(비율)
기    타
음향기기
내   수
수   출
반 주 기,전자인덱스,기 타업소용노래반주기,전자인덱스,
음악소프트웨어,부속품(리모콘등)
Ziller내수 25,401 (35%)
수출 46,294 (65%)
※ 상기 자료는 연결 기준입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천원)
품 목제 25기 제 24기 제 23기
노래반주기
내수       329       329 393
수출     179       162 185
전자인덱스내수   -
수출      269       238 280
음악소프트웨어999
(1) 산출기준
당사의  총 매출금액을 총 매출수량으로 나누어서 주요 제품의 가격을 산출하였습니다
(2) 주요 가격변동원인
*당사 제품의 가격변동 원인은 모델 변경 즉, 신모델 출시입니다.
*노래반주기 수출가격은 마이크반주기등을 포함한 평단입니다.
 
(1) 판매조직
당사의 판매는 대리점 판매가 99%를 차지합니다.

       당사  →  대리점  →  딜러  →  소비자(업소)

(2) 판매경로

 
(3) 판매방법 및 조건
당사의 판매대금 중 99% 이상이 현금 결재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16년 9월 20일 화요일

공유경제(Sharing economy)

공유경제(Sharing Economy)

개별 경제주체가 개인이 자산을 소유하는 대신 다른 주체의 소유 자산을 임대하거나 같이 사용함으로써 한번 생산된 제품을 다수가 함꼐 사용하는 협력소비를 하는 경제 모델을 뜻한다.  

공유경제는 로렌스 레식 하버드대 법대 교수에 의해 새롭게 탄생한 개념이다.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를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나눠 쓰기’라는 뜻이다. 기존 렌털과 비슷해 보이지만, 공유경제 서비스는 한 사람이 아닌 다수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자원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품을 소유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주고 차용해주는 협업 소비를 기반으로 하며 대여자, 이용자, 공유업체 모두에 이익이 돌아가는 윈윈구조다. 


무엇보다 이 시기 집중적으로 보급된 스마트폰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역할이 컸다. 사용자끼리 직접 소통하고 필요한 물건을 주고받으며 시장이 급성장한 것.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은 그의 책 ‘한계비용 제로 사회’에서 “ ‘협력적 공유사회’가 새 경제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며 “미국인 40%가량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 공유경제에 참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료출처 : 한국일보

공유경제가 기존의 소유경제와 차별화되는 점은 구매를 포기한 고객군을 끌어들이고 유휴자원을 통해 다중의 시장 참여를 독려, 결과적으로 시장 전체 파이를 키울 수 있다는 점이다. 공유경제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 자산을 소유한 경제주체에 금전적인 이득을 갖다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장 큰 단점은 정부 규제와 관련된 불확실성이다.  그동안 활용되지 못했던 빈방, 자동차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면서 가치를 생산하고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다. 노인, 비취업자, 주부 등 비경제 계층의 시장 참여율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생산된 제품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어 자원 낭비가 줄어들고, 소비자가 다른 사람의 물건을 공유함으로써 아낀 돈만큼 새로운 소비를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공유경제의 형태는
제품서비스 - 사용자들이 제품 혹은 서비스를 소유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렌트 방식과 유사한 방식. (카쉐어링, 장난감대여, 도서대여 등)
물물교환​ - 필요하지 않은 제품을 필요한 사람에게 재분대 하는 방식.(중고물품 거래방식)
협력적 커뮤니티 - 커뮤니티 내 사용자간의 협력을 통해 경험과 공간을 공유




국내 공유경제 ​ 사례
마이리얼트립
www.myrealtrip.com
위즈돔
www.wisdo.me
열린옷장
www.theopencloset.net
쏘카
www.socar.co.kr

2016년 9월 12일 월요일

지진(earthquake) 관련주

지진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

삼영엠텍[054540]
내연기관구조재 및 산업기계구조재 등 산업에 필요한 철강소재와 구조물 구조재 등 교량에 필요한 교좌장치의 생산 및 판매하는 업체임
내연기관구조재의 대표품목인 MBS(Main Bearing Support)은 두산엔진㈜과 현대중공업㈜에 주로 납품하고 있고 구조물 구조재는 동사의 인천 신공항연육교의 특수장치가 시초이며 최근에 일반건축물에도 이용됨
동사는 소수력발전기 제작 및 설치 사업으로 시장 진출하여 향후 에너지 운용사업 진출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계획
특허 및 신기술을 활용 해외시장의 진출을 시도하여 기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교량받침의 기존사업과 동일 영업개념으로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교량상부공에 참여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매출구성은 플랜트기자재 29.74%, 선박엔진구조재 45.64%, 구조물구조재 13.45%, 풍력기자재 11.17% 등으로 구성

포메탈[119500]
각종 특수 단조설비를 구비하고 자유단조품 외에 형단조품, 복합 단조품, 중공단조품, 링 등의 단조품을 생산하고 있음
거의 모든 기계산업이 단조산업의 전방산업이며 그 중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및 자동화, 방위산업, 산업기계, 농기계 등 5개 분야가 동사의 주력 고객임
자동차 산업과 신재생에너지 및 자동화는 수출의존도가 큰 산업이므로 환율 및 국제경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고려되는 분야임. 방위산업은 환율이나 경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이 있음
동사는 매출 증대를 위하여 중동 아시아 등 새로운 수출처 개척과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제품 개발 등에 노력을 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산업기계부문 27.66%, 자동차부문 33.98%, 방산부문 12.99%, 신재생에너지 및 자동화 부문 18.18%, 농기계부문 7.20% 등으로 구성

유니슨[018000]

1984년 설립되어 1993년 코스닥에 상장하였으며 풍력발전기 생산 및 풍력발전단지 조성 및 운영, 유지보수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기업집단의 명칭은 Toshiba Corporation으로 윈앤피주식회사, KOUNISON HOLDINGS, 유니슨(중국)풍전유한공사, Makambako Energy Limited 등 총 9개의 계열회사를 소유
경상남도 사천시에 국내 최대규모 풍력발전 전용공장을 통해 풍력발전시스템 완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대규모 야적장과 해안에 인접한 최적의 물류체제를 보유하고 있음
2015년 9월에 KEMCO(한국에너지공단)로부터 2.3MW풍력시스템에 대한 국내인증을 획득하였음
매출구성은 풍력발전기 100%로 구성됨

KT서브마린[060370]
1995년 설립되어 2002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해저케이블의 건설과 유지보수업을 영위하는 기업
해양 offshore사업, 해양심층수 취수관설치사업, 해양구조물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등에 진출하여 사업다각화를 위해 힘쓰고 있음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조성과 국내 지자체, 서남해안 지역 해상풍력단지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전력 연계계통 해저케이블 수주를 추진하고 있음
해저통신케이블 시스템 국제 수요는 2020년까지 지속적인 용량 증가가 예상 됨
매출구성은 건설공사 53.21%, 기타 14.92%, 유지보수 31.87% 등으로 구성

동아지질[028100]

1971년 설립되어 건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은 토목분야의 보링 그라우팅 공사, 수중공사, 상하수도설비 공사, 토공사, 비계 구조물 해체 공사, 미장 방수 조적 공사, 철근 콘크리트 공사 등이 있음
지배회사의 사업부문은 세부적으로 기계식 터널(SHIELD,SEMI-SHIELD),지반개량(DCM),지하연속벽,일반토목 등으로 부문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종속회사의 경우 지반개량(DCM),지하연속벽 사업 등을 수행함
핵심 경쟁요소는 토질/암석 시험실 및 시험장비 시스템을 갖추어 지반에 관한 데이터를 오랜 기간 축적, 확보한 것을 바탕으로 지반조사-시험-계측-설계-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토탈서비스 능력임
현재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은 대우건설 17%, Daelim Malaysia Sdn Bhd 13%, 삼성물산 12%, 삼환기업 8% 등임
매출구성은 국내 토목 59.58%, 해외 토목 39.75%, 기타 0.68% 등으로 구성


네이버 애드포스트와 구글 애드센스



  • 혹시 "매번 같은 광고만 노출되면 식상할텐데.", "광고가 노출되지 않으면 어쩌지?"와 같은 걱정을 하고 계시나요? 그렇다면 이제는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여기에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고 게재를 희망하는 많은 광고주들이 블로거 여러분과의 만남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블로그 콘텐츠의 성격과 포스트의 내용, 블로거가 선택한 선호 주제를 분석한 후 각각의 블로그에 가장 적합한 주제와 상품을 지닌
    맞춤형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 방문자에게 친숙하면서도 블로그 디자인과 잘 어울리는 광고 UI를 제공합니다.
    간편하면서도 익숙한 광고 관리 기능의 제공을 통해 광고를 운영하는 블로거 여러분께 더욱 큰 편리함과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블로그를 90일 이상 운영하고 일정 수준의 방문객이 들어오면 블로그 미디어 등록이 가능합니다.
그러면 컨텐츠에 따라 그와 카테고리가 비슷한 광고가 붙습니다.


방문객들이 그 광고를 보고 클릭하면 수익이 들어옵니다.


저렇게 수입이 발생해서 5,000원이 넘고 계좌 등록을 해놓으면 수입이 지급됩니다.

네이버에는 애드포스트 구글에는 애드센스가 있습니다.
 수익이 생기고 있기는 하지만...방문수가 별러 없어... 미약합니다.



2016년 8월 23일 화요일

인사이드 잡(Inside Job, 2010)


개요 : 다큐멘터리, 범죄 , 미국, 108분, 2011.05.19개봉
감독 : 찰스 퍼거슨
출연 : 맷 데이먼(나레이터), 윌리엄 액크먼

미국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 신청과 최대 보험사 AIG의 몰락은 미국 경제를 뒤흔들었다. 월 스트리트 쇼크로 글로벌 주식 시장은 그 즉시 휘청거렸다. 전 세계는 수십 조 달러의 빚더미에 올라앉았고 경제 침체는 계속되었다. 집 값과 자산은 대폭락했고, 3천만 명이 해고됐으며, 5천만 서민들은 극빈자가 되었다. 세계 경제를 파탄으로 내몰았지만… 여전히 돈과 권력을 손에 쥐고 있을 주범들은 과연 어디 있는가.


예전엔 자신들이 속한 나라만의 문제였지만 이제는 세계 금융과 산업의 연결고리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의해 사태가 시작되어 부동산 금융 그리고 산업으로 이어지는 영향으로 세계 경제가 휘청인다.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 규제를 풀기 위해 로비를 하고 그 뒤에 일어나는 사태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빅 쇼트와 같이 보면 좋은 영화이다.



2016년 8월 17일 수요일

4대보험가입자명부 및 가입내역확인서 발급방법 (인터넷발급: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4대 사회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 및 가입내역 확인서를 를 인터넷으로 무료로 발급할려면...

http://www.4insure.or.kr/ins4/ptl/Main.do

로 들어가야 합니다.

회원가입을 한 뒤에...
먼저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을 해야합니다.

증명서 발급에서 가입자 명부나 가입내역확인서를 클릭하면 됩니다.

화면 캡처를 금지해 놓아서...


클릭을 하면 아래 사항을 확인하라고 나옵니다.


아래 사항을 확인하고 나면 사업장 가입자 명부 와 사업장 가입내역 확인서 중 필요한 항목을 클릭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하시면 증명서 상세내역에 처리여부가 출력가능으로 다 나오면 증명서 출력하시면 됩니다.

엄청 간단한 4대보험가입자명부 및 가입내역확인서 발급방법 이였습니다.

2016년 8월 16일 화요일

[DR] Depositary Receipts 주식예탁증서

주식예탁증서(DR:depositary receipt)는 국내 기업이 해외 증시에 상장해 놓은 증권이다해외증시에서도 자사 주식을 발행해 유통시키기를 원하는 기업이 발행하는 것이다한국 기업들로서도 해외 투자자금을 유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해외시장에서 홍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진 출처 : 조선일보>
DR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 발행 주식을 그대로 외국 시장에 유통할 때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 때문이다주권을 운송하면서 분실할 위험도 있고매매 결제 때 환전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또한 국가 간 회계 방식 차이와 시차나 언어 장벽에 따른 문제도 있다외국인 투자자의 주주권 행사를 어떻게 하게 할지도 문제다이런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R을 만들어 쓰는 것이다. 

<사진출처 : http://fngenii.miraeassetdaewoo.com/?p=31349>

DR을 발행하려면 기업이 자사에서 발행한 주식을 국내 증권예탁기관에 맡겨야 한다그래놓고 해외 증권예탁기관과 상장 주관사(주관회사주로 증권사 등 금융기관)를 통해 해외 증시에서 DR을 발행해 상장한다. 
국내 주식예탁기관에 맡기는 주식을 원주라고 한다. DR은 국내 예탁기관에 맡겨둔 원주를 대신하는 증권이므로 원주와 똑같은 권리를 보장받는다외국인이 해외에서 내국 기업 발행 DR을 샀다면 언제든 정해진 신청 절차를 밟아 한국의 증권예탁기관이 보관한 원주로 바꿀 수 있다. 


DR은 외국 증시에서 발행되고 유통되는 증권이므로 증권 거래대금이 해외에서 국내 기업으로 들어온다해외 증시에서 이자 부담 없이 외국 자름을 끌어 쓸 수 있는 셈이다그래서 일반 기업뿐 아니라 은행도 여러 가지 외자 도입 방법 증 DR발행을 선호한다. 

DR 발행 방법에 융통성이 있는 것도 장점이다. DR을 발행하려면 기존 주식을 맡겨도 되고 새로 주식을 발행해 맡겨도 된다새로 대형 투자를 하기 위해 외국 자본을 얻고 싶은 기업은 국내에서 새로 주식을 발행한 다음 DR로 바꿔 해외 증시에 상장하면 된다만약 기업 덩치를 늘리지 않은 채 해외로 지분을 분산시키고 싶다면 기존 주식을 맡기고 해외 DR을 발행해 상장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외국주식을 자국 시장에서 유통시키는 경우 원주식은 채권의 국외수송과 언어 관습의 차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탁은행이 투자자를 대신해서 원주식의 보관에서부터 주주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대행하는 것 등의 예탁계약을 표시하는 증서를 발행유통시키는데 이를 DR라 한다.

DR 투자자는 비록 주식을 직접 보유하지는 않지만 주주로서의 모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발행자는 외화로 유상증자를 할 수 있고 투자자는 자국통화로 외국기업의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국제적인 명성이 있는 은행이 예탁기관이 되고 이 예탁기관의 이름으로 예탁증서가 발행된다.

1927
년 미국의 개런티 트러스트가 처음으로 개발했다국내기업으로는지난 90년 삼성물산이 처음으로 4000만 달러의 DR을 발행했다

다국적 기업이 해외의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는 경우예상되는 발행 및 유통상의 여러 문제점을 고려해 원주는 본국에 소재한 금융기관에 보관하고해외의 투자자에게는 원주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하는 표시로서 발행하여 주는 증서를 의미함. DR은 뉴욕런던도쿄프랑크푸르트 등 전세계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되는「글로벌 주식예탁증서(GDR·Global Depositary Receipt)」와 발행상의 편의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세계최대 금융시장인 미국 뉴욕시장에서만 발행되는 ADR(American DR)로 구분된다유럽시장에서 발행되는 DR은 EDR이라 한다.

2016년 8월 10일 수요일

제지 - 골판지 관련주[corrugated fiber board]

골판지

원판지(liner)에 파형의 골심지(corrugating medium)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로 구성에 따라 편면골판지(single faced corrugated fiberboard), 양면골판지(double faced, single wall), 이중양면골판지(double wall), 삼중양면골판지(triple wall)로 나누어진다. 원판지는 기계적 충격이나 기후 조건으로부터 저항성을 부여하며 뒷면 원판지는 인쇄용으로 사용된다. 골심지는 골판지에 두께를 부여하고 견고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충격시 압축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을 제공한다. 골판지는 비교적 적은 무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다. 용도에 따라 외장용과 내장용으로 나누어진다.

크라프트라이너 : 화학펄프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하며, 주로 골판지 표면에 사용
테스트라이너 1급 : 화학펄프와 폐지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주로 골판지 표면에 사용
테스트라이너 2급 : 100% 폐지로 제조하며, 주로 골판지 이면에 사용

제지산업은 경제발전과 함께 지류소비량이 증가하고 소비의 고급화로 품질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습니다. 최근에는 중국 제지업체들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다량의 제품출시로 인해 국내 제지업체들의 수출지역 다각화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제지업체들은 환경 친화 제품, 경량지종, 특수지종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 투자를 확대할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경제규모의 확대와 농ㆍ수산물의 포장, 전자상거래 등 홈쇼핑의 증가에 따른 포장수요의 증가 및 스티로폼 완충제품이 골판지상자로 대체되고 있고, 동제품은 100% 재활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상품으로써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내용물 보호측면뿐만 아니라 외관에도 신경을 쓰게 되어 고급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품질개선의 노력이 계속 요구되고 있습니다.

대양제지[006580]
1970년 설립되었으며 골판지원지만을 전문적으로 생산, 공급하는 업체로 일일 생산량 12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업계 선두업체임.
골판지원지는 골을 만들어 완충역할을 하는 골심지와 골심지의 표면에 접합하여 인쇄를 하는 표면지용라이너지와 이면용 라이너지로 구분되며 동사는 골심지와 이면용 라이너지를 생산하고 있음.
골판지원지 생산업체들은 동사를 비롯하여 아세아제지, 신대양제지, 대림제지, 고려제지, 동일제지 등 약 14개사 정도만이 일일 생산 300톤 이상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업체들은 200톤 미만 시설 보유. 동사는 2015년도에 골판지용 원지 346,344톤을 생산하였으며, 업계 총생산량인4,675,706톤의 7.4%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골판지 100%로 구성됨

신대양제지[016590]
1982년 설립되었으며 골판지 원지를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6개의 계열회사를 통해 골판지 원지 및 상자를 제조 판매하고 있음
골판지원지는 골을 만들어 완충역할을 하는 골심지와 골심지의 표면에 접합하여 인쇄를 하는 표면지(크라프트라이너지)와 안쪽의 이면지(테스트라이너지)로 구분되는데 동사는 골심지, 이면지, 표면지의 전지종을 생산함.
2015년도에 골판지용 원지 641,595톤을 생산하였으며, 업계 총 생산량인 4,676,706톤의 13.7%의 시장점유율을 점하고 있음 .골판지 원단 및 골판지 상자를 생산, 판매하는 골판지 전문업체로서 업계 상위에 있으며, 구매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품종, 고품질로 계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임
매출구성은 골판지원지 100% 등으로 구성

아세아[002030]

1957년 설립되어 1974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2013년 인적분할로 아세아시멘트(주)에서 아세아(주)로 상호를 변경하고 지주회사가 되었음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에는 시멘트사업(아세아시멘트, 아세아산업개발), 제지사업(아세아제지, 경산제지, 에이팩, 제일산업), 창업투자업(우신벤처투자) 및 재생재료가공처리업(AP리사이클링), 등이 있음
아세아시멘트(주)는 지난해 세계 경기의 불확실성과 내수침체, 수출부진 등 열악한 경제여건 속에서도 정부의 SOC 예산 증대와 민간주택경기 호조에 힘입어 2015년도 총매출액 4,179억원 달성
아세아산업개발(주)는 골재, 부순 모래, 보도블록, 식생블록, 경계블록 등 시멘트 2차제품을 생산 및 판매. 친환경제품인 에코블록, 황토블록, 기능성 녹화생태 블록 등의 판매량 증가를 위해 노력
매출구성은 제지 60.20%, 시멘트 38.49%, 기타부문 1.31% 등으로 구성

아세아제지[002310]

1958년 설립되어 1988년 한국거래소에 상장한 기업으로 지류제조 및 판매업, 수출입업,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골판지원지 등 산업용지를 주요 제품으로 하며 종속회사를 통하여 골판지상자 제조업, 재생원료 수집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2012년 금호페이퍼텍을 시너지 극대화 차원에서 흡수합병. 2008년 에이피리싸이클링을 설립해 재생재료 확보 기반을 마련. 2014년에는 자회사 제일산업이 손자회사인 삼성수출포장을 흡수합병하며 효율성 제고
소각보일러와 고형화 연료보일러 효율을 극대화하여 원가절감을 통한 수익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원료확보와 판매안정을 위한 폐지수집사업과 판지계열화를 한층 강화하여 계열화 전략을 완성함
매출구성은 골판지원지 84.91%, 기타판지 14.44%, 기타 0.65% 등으로 구성

삼보판지[023600]
1973년 설립되어 199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골판지 및 골판지상자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며 4개의 비상장 계열회사를 두고 있음
당사는 공산품, 식품, 의약품 및 농ㆍ수산물 등 각종 제품의 외부포장에 사용되는 골판지 및 골판지상자를 제조하고 있고, 계열회사는 골판지용 라이너 및 골심지를 생산하고 있음
2005년 골판지원지 생산업체인 (주)고려제지 지분 60%를 인수 원재료의 안정적인 수급을 확보, 2007년 골판지 생산업체 (주)한청판지, (주)동진판지, (주)삼화판지의 지분 100% 인수로 물류비 절감을 이룸
2013년 11월에는 소각로용 보일러 가동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형연료와 고지의 원활한 수급을 위하여 (주)현대자원의 지분 50%를 인수
매출구성은 골판지 및 골판지상자 67.16%, 골판지 원지 57.06%, 내부거래 -26.98%, 수입임대료 외 2.76% 등으로 구성

영풍제지[006740]

1970년 설립되어 화섬, 면방업계의 섬유봉, 실패의 원자재인 지관용원지와 골판지상자용 라이나원지를 생산하고 있음
소각보일러를 완공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의 절감을 위한 시설투자를 하였고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손실을 최소화 하는 등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인 대처를 통한 수익성의 개선을 위하여 노력 중임
지관용원지는 타지종과는 달리 일정한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평량(200g~ 500g/㎡)이며, 제품의 용도가 다양하고 연구 응용에 따라 신수요 시장의 개발가능성이 높음
인터넷산업의 활성화에 따른 택배산업의 급성장과 환경보호에 대한 강화 등으로 인한 포장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제지업계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
매출구성은 제품(원지) 99.05%, 임대사업 0.95% 등으로 구성

대림제지[017650]


1984년 설립되어 199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골판지용 원지, 라이나 등의 지류를 제조, 판매하고 있음
골판지용 원지를 생산하는 업체로서 골판지는 여러 종류의 포장용 재료로 제일 많은 양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골판지 원지는 판지 중에서도 제일 많은 생산량을 점유하고 있음 (2015년 생산점유율 3.79%)
제품의 원재료는 폐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품의 수요처는 판지 제조 회사로서 다양한 규격의 생산된 제품을 주문에 의하여 판매하고 있음
경기 변동에 따라 유동적으로 내수 수요량이 변동되고 있으나, 건실한 고정적 대규모 기업체들을 주요 거래처로 확보하고 있어 안정적인 시장을 유지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골판지원지 98.90%, 폐기물처리지원비 1.10%로 구성됨


2019년 1월 미국주식 배당

현 보유종목 트리맵으로 시각화 1월 배당금액 $ 22.16